윤 대통령, 한 달 새 청와대 14번 이용… '용산시대' 딜레마 커진다

입력
2023.01.04 18:50
수정
2023.01.04 18:50
6면
구독

편집자주

꼬집은 소금이나 설탕 따위의 양념을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집어올린 양을 의미합니다. 아주 적은 양이지만 때로는 꼬집 하나에 음식 맛이 달라지듯, 이슈의 본질을 꿰뚫는 팩트 한 꼬집에 확 달라진 정치 분석을 보여드립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부처 업무보고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부처 업무보고를 주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은 4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업무보고를 받기 위해 청와대를 찾았다. 부처 업무보고를 독대가 아닌 '합동' 토론 방식으로 진행하면서 대규모 행사장이 필요한데 지금의 용산 대통령실 '자유홀'은 비좁아 인원을 모두 수용할 수 없어서다.

윤 대통령이 국민에게 돌려준다던 청와대 시설인 영빈관이나 상춘재를 활용하는 횟수가 늘고 있다. 최근 한 달 새 총 14번이나 된다. 이틀에 한 번꼴로 청와대를 방문하는 셈이다. 기존 시설을 활용하는 것 자체가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청와대를 전면 개방하고 권력의 중심인 대통령실을 이전한 '용산시대'의 의미가 퇴색되는 게 딜레마다.

한 달간 14차례… 용산만큼 靑 자주 찾은 尹

대통령실이 청와대 영빈관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5일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국가주석 국빈 방문이 계기였다. 푹 주석과는 같은 날 청와대 상춘재에서 친교 차담 행사도 가졌다. 용산 대통령실 자유홀은 비좁고 내부 인테리어도 외빈 행사에 어울리지 않다는 평가가 나오자 청와대로 유턴한 것이다.

대통령실은 이후 카타르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만찬(12월 8일), 국정과제점검회의(12월 15일), 청년 간담회(12월 20일), 비상경제민생회의 겸 국민경제자문회의(12월 21일) 등의 대통령 행사를 줄줄이 영빈관에서 열었다. 지금까지 총 12번이다. 청와대 상춘재도 한 달 새 2번 사용했다.

청와대 영빈관은 연회를 위한 전용 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영빈관이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에 지어져 낡긴 했지만 언제든 활용할 수 있는 게 장점"이라고 했다. 또 대통령실 관계자는 "국빈 행사에 필요한 비품들이 모두 갖춰져 있어 비용 측면에서도 경제적"이라고 말했다.


靑 전면 개방 의미 퇴색… "용산 랜드마크 어렵다" 우려도

청와대 활용은 일종의 고육지책이다. 현재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종로구 청와대까지 이동거리는 6.4km로 차량 통제를 안 했을 때 기준으로 하면 22분이 걸린다. 1분 1초가 아까운 대통령에게는 적은 시간이 아니다. 또 "외빈 방문 시에만 경호를 위해 영빈관을 일시적으로 통제한다"는 설명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의 방문 횟수가 늘면 시민의 관람 불편은 커질 수밖에 없다. "이럴 바엔 왜 대통령실을 이전했느냐"는 야당의 비판도 부담이다.

취임 초기에는 국방컨벤션센터나 전쟁기념관, 국립중앙박물관 등 대통령실 인근 공간을 외빈 행사에 활용한 적이 있다. 하지만 일정 조율과 경호상 문제로 애로가 많자 이용이 끊겼다. 대통령실 주변에 새 시설을 짓는 것도 여의치 않은 형편이다. 지난해 9월 대통령실 주변에 영빈관을 신축하겠다며 국회에 예산을 신청했으나 비판 여론이 거세 관련 계획을 백지화한 상태다. 영빈관의 대안 시설로 꼽혀온 미군 용산 기지 드래곤힐 호텔 부지도 반환이 늦어지면서 윤 대통령 임기 내에 활용 여부가 불투명하다.

대통령실도 고민이 깊다. 윤 대통령이 공언했던 청와대 전면 개방 의미가 퇴색될 수 있어서다. 용산이 청와대를 대체하는 확실한 랜드마크로 자리 잡지 못하는 상황을 우려하기도 한다. 여권 관계자는 "용산 이전으로 인한 효용성을 국민이 체감하지 못한다면, 누가 됐든 다음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을 청사로 활용하겠느냐"고 반문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실용과 비용 절감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영빈관을 새로 짓는 걸 다급한 과제라고 보지 않지만, 국가 미래를 위해서 필요성이 있는 만큼 천천히 살펴볼 순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지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