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대우, 정치적 판단 오류로”…
외환위기 그리고 김우중의 한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오세훈 서울시장 지원 요구에
추경호 "시 자구책 마련이 우선"
기준 조정은 사회적 논의 진행돼야
주호영(왼쪽) 국민의힘 원내대표와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일 국회 경제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형평성 차원에서도, 중앙정부가 빚을 더 내 가장 재정 상태가 좋은 지방자치단체를 지원하는 것 자체도 말이 안 된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대정부질문에서 “서울 지하철은 서울시 시설인 만큼 자체 예산으로 책임지고 운영해야 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추 부총리는 “80%가 넘는 서울시의 재정자립도는 전국에서 최고로 우수한데 자체 재정이 어렵다고 한다면, 재정자립도가 30%도 안 되는 전남·경북 등은 재정지원 소요를 어디서 충당하느냐”며 “서울 지하철 적자 해소는 서울시가 경영 진단을 하고, 효율화나 원가 절감을 할 부분은 없는지 살펴보는 자구 노력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지하철 적자 분담 요구에 반대 입장을 밝힌 것이다. 오 시장은 지하철 운영기관의 적자가 심화하고 있다며 3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대중교통요금 체계 개편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할 시점”이라고 주장했다. 서울시는 현재 65세 기준인 무임승차 연령을 70세로 높이면 무임승차에 따른 손실 1,524억 원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대해 추 부총리는 “무임승차 연령이 너무 낮다, 이용 시간대를 제한하자 등 여러 의견이 있지만 60세가 되면 퇴직하고, 노인빈곤율이 높은 것도 현실”이라며 “무임승차 연령 기준을 어떻게 할지에 대해선 사회적 논의가 진행돼야 할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1,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