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진짜 거북선?···"지붕 전체가 철갑 거북등 아냐"

입력
2023.03.19 20:30
수정
2023.03.19 20:39
구독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연구
1809년 상소문서 "귀선도설로 통일해야"
이충무공전서에 실린 귀선도설 분석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이 이충무공전서 속 '귀선도설'을 토대로 3D로 복원한 1795년 통제영 거북선 모습. 연합뉴스.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이 이충무공전서 속 '귀선도설'을 토대로 3D로 복원한 1795년 통제영 거북선 모습. 연합뉴스.

조선시대 거북선이 철갑 뿔을 촘촘히 두른 거북이 등 모양이 아니라 3층 구조로 양 측면에만 철갑을 두른 형태라는 분석이 나왔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사용한 거북선의 정확한 도면이 남아 있지 않아 그간 2층설과 3층설 등 다양한 주장이 제기돼왔다.

'전통무기 전문가'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은 19일 조선시대 문헌 '비변사등록'에 담긴 상소문과 1795년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에 실린 거북선 설계도면인 '귀선도설'을 분석한 결과 이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채연석 전 항공우주연구원장이 자신의 연구를 토대로 복원한 통제영 거북선 모형을 들고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채연석 전 항공우주연구원장이 자신의 연구를 토대로 복원한 통제영 거북선 모형을 들고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채 전 원장에 따르면, 1793~1794년 삼도수군통제사를 지냈던 신대현은 1809년 4월 "최근 각 수영의 거북선이 이름만 거북선이지 다른 배와 다름이 없다"며 "거북선을 귀선도설에 맞춰 건조하도록 하고 이를 어긴 게 드러나면 문책해달라"는 상소문을 올렸다. 귀선도설이 실제 거북선의 설계도로 쓰였다는 증거는 없었는데, '비변사등록'에서 발견된 이 상소문으로 미뤄 보면 1809년 이후에는 귀선도설을 바탕으로 거북선이 건조됐다고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이 이충무공전서 속 '귀선도설'을 토대로 3D로 복원한 1795년 통제영 거북선 설계도. 연합뉴스.

채연석 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이 이충무공전서 속 '귀선도설'을 토대로 3D로 복원한 1795년 통제영 거북선 설계도. 연합뉴스.

신대현이 거북선 건조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고 한 귀선도설에는 1795년 당시 통제영 거북선과 전라좌수영 거북선 2종류가 설명돼 있다. 이를 분석하면 거북선은 3층 구조로 마치 판옥선 위에 챙모자를 씌운 모양새라는 게 채 전 원장의 주장이다. 거북선의 상장(배의 윗부분) 길이도 85척(26.6m)에 달하고 폭은 32척(10m)으로 추정됐다.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거북선보다 더 길쭉하고 날렵한 모양이다. 채 전 원장은 귀선도설을 바탕으로 3D 컴퓨터그래픽으로 재현한 거북선의 항해 상상도와 함께 거북선 축소 모형도 선보였다.

채 전 원장은 3층 구조의 거북선에서 1층은 창고로 쓰이고 함포는 2층 선두에 3대, 선미에 1대, 3층 좌우에 24대, 선두에 2대, 선미 1대 등 모두 31대가 설치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는 1894년 '통제영 해유문서'에 2층과 3층 전후좌우에 함포를 배치했다는 내용을 근거로 했다. 이를 토대로 장교 6명, 사부 18명, 화포장 10명, 포수 24명, 타공 4명, 격군 120명 등 182명이 거북선에 탑승했을 것이란 분석도 내놨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가 발행한 '충무공 이순신과 한국해양' 제9호에 발표됐다.

다만 이번 연구는 1795년 통제영 거북선을 추정한 것인 만큼 실제 임진왜란 때 이순신 장군이 쓴 거북선의 형태와 다를 가능성도 남아 있다. 이에 대해 채 전 원장은 "판옥선이나 거북선 구조를 바꾸려면 왕에게 승인받아야 했던 만큼,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에서 변화가 없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원다라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