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北, 위성 발사장 짓다 허물고 오락가락"... 김정은 지시에 급조하다 실패

입력
2023.06.02 04:30
수정
2023.06.02 07:04
1면
구독

짓던 공사 중단하고 새 발사장 건축하기도
새 발사장, 절차 단축 위한 간이 발사장 가능성

북한이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에 실패한 주요 원인으로 기술적 검증을 제대로 거치지 않은 '조급함'이 꼽힌다. 그러면 발사를 준비해온 북한의 움직임은 어떠했을까. 우리 군과 정보당국은 북한이 발사장을 짓다 허물고, 개·보수 공사를 하다 다른 발사장을 다시 짓는 등 오락가락하며 혼선을 자초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발사 실패를 어느 정도 예견한 셈이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北, 발사장 공사하는데 이상패턴…"혼란 정황"

1일 한국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정보당국은 최근 북한이 발사장 짓는 과정에서 혼란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서둘러 정찰위성을 발사하는 것에 급급해 지시를 산발적으로 내리고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이 같은 분석은 4월 18일 김 위원장이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하면서 "첫 군사정찰위성을 계획된 시일 안에 발사하겠다"고 밝힌 직후 나온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이 지난달 31일 북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쏜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실은 위성운반로켓 '천리마 1형'의 발사 장면을 1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했다. 이 로켓은 엔진 고장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북한의 위성 발사장 개·보수 징후가 나타난 건 지난해 9~10월쯤이라고 한다. 올 3월에는 기존 서해위성발사장 인근 해안에 부두 형태의 시설을 짓는 움직임도 포착됐다.

정보당국은 '동시다발적'인 공사흐름에 주목했다. 특히, 증축이 있었다가 일부 시설이 철거되는 등 '정리되지 않은 움직임'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대북소식통은 "통상적으로 발사를 준비하면서 기존 발사장의 개·보수 작업과 발사장 신설 작업을 동시에 진행하진 않는다"면서 "그런데 이번에는 이런 작업이 동시에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국정원은 전날 비공개로 진행된 국회 정보위원회 현안보고에서 이번 위성 발사가 동창리에 있는 신규 발사장에서 이뤄졌으며, 공사가 제대로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였다고 분석했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명예연구위원은 "발사대는 연료주입 장치와 연료 저장고, 각종 측정장치 등 부품과 설비를 제대로 갖춰야 하는데 최고 지도자가 채근을 하니까 그렇지 않은 상태에서 발사가 이뤄진 것 같다"고 분석했다.

신규 발사장, '간이발사장' 가능성…완결성보단 속도 따졌다

이날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발사 장면을 보면 기존 발사장과는 확연하게 다르다. 기존 서해위성발사장에서 3㎞ 정도 떨어진 바닷가에 급조된 새 발사장(제2발사장)으로 추정된다. 이종섭 국방장관도 국회 국방위에 "기존 발사대는 (발사체를) 발사대에 (두고) 조립해 1·2·3단을 올리는 형태이고, 신규 시설은 바로 직립해 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두 개의 발사대가 서로 발사하는 형식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조립식 발사대는 각 단을 조립할 때마다 추진체의 완성도를 점검하기 때문에 시간은 오래 걸리지만 완성도가 높다. 반면 직립식은 발사체 전체를 조립해 세우는 만큼 시간이 적게 걸리는 대신 꼼꼼한 검증이 어렵다.

당국은 이번 발사장도 급조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대북소식통은 "빠른 시간 내 발사가 가능한 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기술적 완성도보다는 발사 준비과정을 최대한 은폐하고 시간을 단축하는데 집중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이 4월 구성을 지시한 '비상설준비위원회'도 조급함의 근거로 꼽힌다. 그동안 북한은 기술적 문제를 풀기 위해 국가우주개발국과 국방과학원 중심의 태스크포스(TF)를 꾸려온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도 실무조직이 가동되고 있었다는 게 군과 정보당국의 판단이다. 그러나 이번 발사의 경우에는 난데없이 비상설준비위가 꾸려져 작업을 주도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겨 기존 기구가 아닌 비상설준비위를 통해 해결을 시도했을 가능성이 있어보인다"며 "현장에서는 엄청난 압박을 느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문재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