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20 월드컵] 화력 탑재한 이탈리아, "측면 공략이 승부수"

2023.06.07 07:00

‘AGAIN 2019’ 달성까지 단 한 경기만 남겨둔 김은중호의 다음 상대는 전통의 강호 이탈리아다. 한국 20세 이하(U-20) 대표팀은 9일 오전 6시(한국시간) 아르헨티나 라 플라타에 위치한 라 플라타 스타디움에서 이탈리아와 2023 아르헨티나 U-20 월드컵 준결승을 치른다. 이 대회 3연속 4강 진출에 성공한 이탈리아는 화끈한 공격력을 바탕으로 대회 첫 우승을 넘보고 있다. 이탈리아는 이번 대회에서 4승 1패의 호성적으로 4강에 안착했다. 조별리그에서는 브라질, 나이지리아와 ‘죽음의 조’에 묶이고도 2승 1패(조 2위)를 거두고 16강에 올랐고, 토너먼트에서는 잉글랜드(2-1), 콜롬비아(3-1)를 연달아 격파했다. 우승후보와 복병을 모두 제압하며 거침없는 질주를 이어가고 있는 이탈리아는 이번 대회에 출전한 국가 중 약점이 가장 적은 팀으로 꼽힌다. 이탈리아의 가장 큰 무기는 화끈한 공격력이다. 이탈리아는 5경기를 치르는 동안 11득점을 올렸다. ‘삼바 축구’ 브라질(16득점), 최약체 피지에 9골을 퍼부은 에콰도르(13득점)에 이어 팀 득점 3위에 랭크돼 있다. 화력에서는 한국(8득점)에 비해 한 수 위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공격성향도 한국보다 강하다. 축구 통계 매체 소파스코어에 따르면, 이탈리아의 경기당 평균 슈팅수는 16.6개로 한국(9.2)보다 월등히 많았다. 볼 점유율 역시 53.4%를 기록, 한국(43.8%)에 비해 강한 중원 장악력을 보이고 있다. 가장 경계해야 할 선수는 체사레 카사데이(레딩)이다. 그는 미드필더임에도 팀 득점의 절반 이상인 6골(2도움)을 기록하며 이번 대회 득점 1위에 올라 있다. 이 중 절반을 186㎝의 큰 신장을 활용한 헤더골로 기록했다. 김은중호로서는 문전 공중볼 경합에 특히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또 다른 미드필더 톰마소 발단치(엠폴리)도 주의해야 한다. 이탈리아 세리에A에서 공격형 미드필더 또는 2선 스트라이커로 활약하고 있는 발단치는 2022~23시즌 리그 영플레이어상을 수상한 대형 유망주다. 이번 대회에서도 2골 2도움을 올리며 이탈리아의 공격을 지휘 중이다. 그렇다고 이탈리아가 아예 약점이 없는 건 아니다. 우선 ‘카테나초(빗장수비)’라는 명성에 걸맞지 않게 이번 대회에서 6실점하며 전체 24개 참가팀 중 12번째로 많은 골을 내주고 있다. 조별리그부터 우승후보를 연달아 상대해 온 만큼 한국과의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수치상으로는 한국(5실점)보다 한 골을 더 허용했다. 또 나이지리아, 잉글랜드와의 맞대결에서 크로스 상황에 약한 모습을 보인 점도 주목할 만하다. 당시 이탈리아 수비수들은 상대 마크 선수를 놓치고 골을 허용했다. 이승원(강원 FC)이 이번 대회에서 기록한 4도움이 모두 세트피스 상황에서 나온 것을 감안하면 충분히 공략해 볼 만한 지점이다. 조별예선부터 고수해 온 4-3-1-2 포메이션 특성상 측면 공격에 취약하다는 점도 공략 포인트다. 한준희 축구해설위원(대한축구협회 부회장)은 유튜브 채널 ‘원투펀치’를 통해 “이탈리아는 수비 상황에서 발단치가 중앙으로 내려온 뒤 (수비라인을) 펼치는데, 이 과정에서 다소 시간이 걸린다”며 “이 때문에 측면 공격이 좋은 팀을 상대할 때 측면 수비수가 (이를) 따라가는 속도가 늦다”고 평가했다. 배준호(대전 하나시티즌) 김용학(포르티모넨스) 강성진(FC 서울) 이지한(프라이부르크) 등 한국의 윙들이 이탈리아 측면을 지속적으로 파고들어야 한다는 의미다. 박찬하 해설위원은 “이탈리아 선수 중 소속팀에서 경기를 꾸준하게 뛰고 있는 이들이 많지 않다”며 “이 때문에 65분 이후 전체적으로 선수들의 발이 무거워지고, 급격하게 공격과 수비 사이에 간격이 벌어진다”고 평가했다. 이어 “김은중 감독은 토너먼트 돌입 후 전반은 어느 정도 버티고 후반에 승부를 거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며 “(기존처럼) 신중하게 접근하면 한국 대표팀에게도 기회는 충분히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축구의 신' 메시 차기 행선지는 베컴의 인터 마이애미

‘축구의 신’ 리오넬 메시가 스페인 라리가 바르셀로나, 사우디아라비아 리그가 아닌 미국 메이저리그사커(MLS) 인터 마이애미로 향한다. MLS는 8일(한국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올 여름 메시가 인터 마이애미에 합류한다는 소식을 전하게 돼 매우 기쁘다”면서 “공식 합의를 마무리짓기 위한 단계가 아직 남아있지만 역사상 가장 위대한 축구 선수 중 한 명이 MLS에 오는 걸 환영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2004년 바르셀로나 유니폼을 입고 프로 무대에 데뷔한 메시는 이후 숱한 트로피를 들어올리며 축구의 신으로 등극했다. 2008~09시즌 리그ㆍ유럽축구연맹챔피언스리그(UCL)ㆍ코파 델 레이(스페인 FA컵)를 모두 제패하는 ‘트레블(3관왕)’의 주역이었고, 발롱도르를 수상하며 명실공히 세계 최고의 선수가 됐다. 국가대표 유니폼을 입고도 굵직한 대회 정상에 섰다. 2021 코파 아메리카와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조국 아르헨티나의 우승을 이끌며 펠레(브라질), 디에고 마라도나(아르헨티나)와 함께 축구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의 반열에 이름을 올렸다. 2021년 바르셀로나를 떠나 프랑스 리그1의 파리 생제르맹(PSG)으로 이적한 메시는 모든 대회를 통틀어 △2021~22시즌 11골 14도움 △2022~23시즌 21골 20도움을 기록하며 건재함을 알렸다. 그러나 구단의 숙원인 UCL 우승 실패, 팀 훈련 불참 등으로 팬들로부터 비판을 받았고, 결국 재계약 대신 이적을 택했다. 메시는 애초 친정팀 바르셀로나와 천문학적인 연봉을 제공하는 사우디를 후보지에 놓고 고심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바르셀로나는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주급자들을 정리하며 메시의 복귀를 바랐고, 사우디는 연봉 4억 유로(약 5,600억 원)를 제시했다. 그러나 메시의 최종 선택은 잉글랜드 축구의 전설 데이비드 베컴이 구단주로 있는 인터 마이애미였다. MLS를 후원하는 거대 다국적 기업 두 곳의 지원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졌다. 현지 매체 디 애슬래틱은 MLS가 올 시즌부터 10년간 MLS 중계를 책임지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애플TV+의 ‘시즌 패스’(한 시즌 중계 패키지 이용권) 수익의 일부를 메시에게 제공하는 안을 검토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후원사 아디다스 역시 MLS 수익의 일부를 공유하는 방안을 따져봤다고 덧붙였다.

호날두 이어 벤제마까지 사우디행... '오일 머니' 선택한 레전드들

'발롱도르'에 빛나는 카림 벤제마(36)가 '옛 동료' 크리스티아누 호날두(38·알 나스르)가 터를 잡은 사우디아라비아로 향한다. 아직 차기 행선지를 정하지 않은 리오넬 메시(36·파리생제르맹)를 비롯해 손흥민(31·토트넘)까지 '오일 머니'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사우디가 막대한 '오일 머니'를 내세워 황혼기에 접어든 월드클래스 영입에 나서는 등 새로운 엘도라도로 떠오르고 있다. 사우디의 알 이티하드는 7일(한국시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벤제마를 영입했다. 계약 기간은 2026년까지 3년"이라고 발표했다. 구단은 자세한 연봉 등 계약 조건은 밝히지 않았지만 벤제마는 호날두와 같은 연봉 2억 유로(약 2,800억 원)라는 엄청난 금액을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레알 마드리드 잔류를 고민하던 벤제마는 결국 '오일 머니'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했다. 그는 호날두에게 사우디 생활에 대해서 여러 번 물으며 조언을 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써 사우디 리그는 지난 1월 호날두에 이어 벤제마까지 세계적 스타를 품는 데 성공했다. '오일 머니'의 유혹은 현재 진행형이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첼시의 수비형 미드필더 은골로 캉테(32)도 사우디행이 점쳐지고 있다. 유럽 축구 이적시장 전문가 파브리시오 로마노 기자에 따르면 벤제마를 영입한 알 이티하드가 캉테와 런던에서 협상 중이며 조만간 계약을 맺을 예정이다. 연봉은 1억 유로, 계약 기간은 2025년까지 2년으로 알려졌다. 세계적인 스타 벤제마가 합류한 이상 캉테 역시 사인할 것이란 해석이 지배적이다. 사우디는 레알 마드리드와 1년 계약 연장한 루카 모드리치(레알 마드리드), 은퇴 고민 중인 세르히오 부스케츠(바르셀로나), 소속팀과 결별한 세르히오 라모스(파리생제르맹) 등에도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심지어 손흥민의 이름도 거론되고 있다. 미국 CBS스포츠 벤 제이콥스 기자는 7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손흥민도 2024년 사우디의 영입 타깃"이라며 사우디가 작업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영국 매체 팀토크도 "토트넘은 사우디로부터 거액의 제의를 받는다면 손흥민을 팔아 현금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메시도 사우디의 손길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친정팀' 바르셀로나에 복귀하고 싶지만 연봉을 대거 깎아야 하는 재정적 문제가 걸림돌이다. 사우디의 알 힐랄이 연봉 4억 유로(약 5,600억 원)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져 '돈이냐, 명예냐'를 놓고 심사숙고 중이다. 사우디의 세계적인 축구스타 영입에는 이유가 있다. 2030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 개최 도전 및 2027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개최 등 축구로 국가적 이미지를 개선하려는 시도로 보인다. 인권탄압국 이미지를 세탁하려는 이른바 '스포츠 워싱'이라는 비판이 따르지만 막대한 '오일 머니'에 유럽 축구 시장이 흔들리는 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종목별 최신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