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반발한 한국의 방역 강화…전문가들 "그래도 미흡" "단계적 강화했어야"

입력
2023.01.14 11:00
구독

중국발 방역 강화 필요성 인정, 속도 측면에선 이견도
방역 기조 유지엔 대체로 동의 "유행 상황 지켜봐야"

지난 9일 중국에서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로 입국한 단기체류 외국인들이 코로나19 검사센터에서 접수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9일 중국에서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로 입국한 단기체류 외국인들이 코로나19 검사센터에서 접수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 정부가 자국민에 대한 한국의 입국 검역 강화에 단기비자 발급 중단이란 보복 카드를 꺼냈어도 대부분의 감염병 전문가들은 강화된 조치의 필요성을 인정했다. 다만 속도 측면에서는 변이 발생을 모니터링하며 단계적인 대책을 시행하는 게 효율적이었다는 의견도 나온다.

14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서 입국하는 내외국인에게는 △입국 전후 코로나19 검사 △검역정보사전입력시스템(Q-CODE) 이용 의무화 △확진자 격리 등 강화된 방역조치가 적용된다.

방역당국은 중국 내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한데도 중국 정부가 통계 발표를 중단해 감염 상황 파악이 어려워졌고 신규 변이 바이러스 출현 등이 우려돼 불가피하게 방역을 강화했다며 당분간 현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가 많은 전문가들도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강화한 방역 수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소 엇갈린다. 최소한의 조치라는 입장과 단계적으로 강화했어야 한다는 아쉬움, 변이를 막기에는 부족하다는 우려 등이 혼재하고 있다.

김우주 고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중국에서 갑자기 폭증하는 확진자 유입을 막는 효과는 있다"면서도 "동남아 국가 등 (타국을) 우회해 국내로 들어오는 건 알 수 없어 중국발 유입을 100% 막기에는 완벽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오명돈 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현재 중국에서 유행하는 바이러스는 우리 국민이 이미 백신이나 자연감염으로 면역을 가지고 있다"며 "중국 이외 국가에서도 새 변이 바이러스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어 중국만 봉쇄하는 건 큰 역할을 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중국발 확진자에게서 새로운 변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방역당국이 이달 2, 3일 중국에서 들어온 단기체류 외국인 확진자 138명 중 전장 유전체 분석이 가능한 31명의 검체를 분석한 결과, 오미크론의 세부 계통인 BA.5 계열이 96.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BA.5가 45.2%, BF.7이 51.6%이고, 그 외 BN.1이 3.2%다. 전부 국내에서 이미 발견된 변이 바이러스다.

이런 이유로 변이 바이러스 유입 추이를 관찰하면서 방역을 순차적으로 강화했어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변이 발생 전까지 모니터링하면서 단기비자 발급 제한 등을 단계적으로 접근했으면 어땠을까 싶다"며 "(추가로) 적용할 수 있는 카드를 남겨놨어야 하는데 초반부터 과잉한 측면이 있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다만 이미 방역을 강화한 이상 당분간 유지해야 한다는 데는 큰 이견이 없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는 유행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유행 후반기에 발견될 수 있다"며 "중국 내 유행이 2, 3월까지 지속될 수 있어서 지금은 유지하면서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우주 교수도 "춘절 때 중국 내에서 이동이 많고 동남아 국가 등 외국으로도 많이 나간다"며 "국내에서도 설 연휴 이후 유행이 재반등할 가능성이 있어 설날과 춘절 이후까지 상황을 지켜보고 통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한슬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