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기념관장 "홍범도 흉상, 육사에 그대로 두는 게 바람직"

입력
2023.10.13 21:00
5면
구독

국가보훈부·독립기념관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
박민식 "정율성 기념사업, '상식의 눈'으로 중단해야"
백선엽 장군 친일 행적 삭제에 민주당 "장관 권한 없어"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국가보훈부에 대한 국정감사가 열린 13일 박민식 보훈부 장관이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이한호 기자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국가보훈부에 대한 국정감사가 열린 13일 박민식 보훈부 장관이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이한호 기자

박민식 보훈부 장관이 13일 광주 정율성 기념사업에 대해 "상식의 눈을 갖고 본다면 조만간 (사업) 중단조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틀 전 광주시를 향해 권고한 사업 중단과 흉상 철거를 재차 강조한 것이다. 한시준 독립기념관장은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과 관련 "육군사관학교에 그대로 두는 게 바람직하다"며 국방부의 공식 입장과는 상반된 견해를 드러냈다.

국민의힘 "정율성 기념사업 철회돼야"…박민식 "상식적이면 중단조치 이뤄질 것"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은 "중공군의 침략을 정당화한 사람을 대한민국 한가운데에 공원을 조성해 의인인 양 기리는 게 말이 되느냐"며 사업 중단을 촉구했다. 그러자 박 장관은 "진보·보수의 문제가 아니고, (사업 중단에 반대하던) 광주·전남에서조차 반대 여론이 훨씬 많다"며 맞장구를 쳤다. 같은 당 윤한홍 의원은 "백선엽 장군은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을 지켜낸 일등공신이고 정율성은 북한·중국 공산국과 같이 대한민국에 쳐들어 내려온 사람"이라며 "지난 5년 동안 북한 입장을 그대로 반영했는데 보훈부가 바로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보훈장관, 친일명단 삭제 권한 없어"

야당은 백선엽 장군을 친일 명단에서 삭제한 보훈부의 조치에 날을 세웠다. 강성희 진보당 의원은 "친일·반민족 행위 결정 근거가 되는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을 인정하지 않느냐"고 따져 물었다.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보훈처를 보훈부로 승격한 것은 대한민국 안보, 보훈, 역사에 중요한 분을 기리고 잘 지키자는 것"이라며 "(보훈부가) 친일파를 빼고 넣고 하는 권한이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 박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의 아버지가 친일이 아니듯 당시 아픈 역사적 경험을 한 사람들에게는 동일한 잣대를 적용해야 한다"며 "국회에서 법을 통과시켰다고 해서 그게 역사적 진실이 되는 건 아닌데 국회에서 친일이다, 아니다라고 할 수 없지 않느냐"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백혜련 정무위원장은 "장관으로서 적절한 발언이 아니다"라며 "장관은 의원들의 지적을 새겨듣기 바란다"고 일침을 놓았다.

독립기념관장 "육사 홍범도 흉상, 유지 바람직"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이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한시준 독립기념관장. 뉴시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이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업무보고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한시준 독립기념관장. 뉴시스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문제도 다시 도마에 올랐다. 한시준 관장은 백 위원장의 질의에 "우리나라 군이 군의 정신을 제대로 함양하고 또 지도자들에게 그런 정신을 가르치려고 하면 흉상은 육사에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는 게 개인적 생각"이라고 답변했다. 그러자 윤봉길 의사의 손녀인 윤주경 국민의힘 의원은 "감사드린다"고 호응했다.

다만 보훈부와 독립기념관은 "국방부나 육사 측에서 홍 장군 흉상을 독립기념관으로 이전하는 방안에 대해 별도로 요청한 사실이 없다"고 밝혔다. 국방부와 육사는 그간 "독립기념관에 협조를 요청해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해왔다.

문재연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