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숨겨진 아들 있나... 또 불거진 백두혈통 후계자 논란

입력
2024.02.25 16:10
수정
2024.02.25 17:18
구독

국정원, 김주애·장남 후계설 모두 가능성 열어둬
전례 보면 △당 중앙위 정치위원 △생일 기념일 지정 등 있어야
안기부 공작관 출신 최수용씨, 김정은 아들 후계자 주장

지난해 11월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 성공을 경축해 마련한 연회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딸 주애의 모습. 평양=조선중앙TV 연합뉴스

지난해 11월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 성공을 경축해 마련한 연회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딸 주애의 모습. 평양=조선중앙TV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장남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영국 매체가 전직 국가정보원 요원의 발언을 인용해 제기한 것이다. 국정원이 공식적으로 "딸 주애가 김정은의 유력한 후계자(1월 조태용 원장 인사청문회)"라는 입장을 유지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딸 주애가 과거 김정일·김정은과 달리 아직 후계자로 확정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백두혈통 후계구도를 둘러싼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영국 데일리메일은 23일(현지시간) "김정은의 장남이 '매력적이지 않은 외모' 등을 이유로 공개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아들이 있지만 너무 마르고 외모가 김일성 주석이나 김정은 위원장을 닮지 않아 숨기고 있다는 것이다. 20여 년간 대북업무를 맡은 최수용 전 공작관의 분석을 인용한 기사다.

국정원, 2017년 국회보고에서 "2010년생 첫째 아들" 언급

베일에 싸인 김 위원장의 아들 문제는 국정원의 최우선 관심사다. 국정원은 2017년 국회 정보위원회에 "2010년생 첫째 아들과 2013년 초를 전후해 태어난 둘째 딸, 2017년 2월생으로 성별이 파악되지 않은 셋째가 있다"고 보고했다. 지난해 3월 김규현 전 국정원장도 "구체적 물증은 없지만 첩보상 아들이 있다"는 취지로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북한 분석관 출신 인사는 25일 "딸 김주애의 본명 또한 '주애'로 확인된 적은 없다"며 "김정은의 후계자를 둘러싼 다양한 첩보가 존재하고 장남의 후계 가능성도 당연히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첩보의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국정원의 인지 여부 또한 정보이기 때문에 공개할 수 없는 사안"이라고 선을 그었다.

현재 국정원의 판단은 딸 주애로 쏠려 있다. 후계자로 주애가 유력하는 것이다. 북한 매체를 통해 드러난 주애의 공개활동 내용과 예우 수준을 종합한 결론이다. 동시에 국정원은 '김 위원장에게 2013년생 주애 외에 성별 미상 자녀가 있다'며 아들의 승계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주애, 후계자 유력 이유는? △존칭 △의전규범 △ 대외활동

딸 주애가 유력한 후계자로 부각한 이유는 크게 3가지다. 우선 '존경하는 자제분'과 같은 극존칭이다. 당초 '사랑하는 자제분', '존경하는 자제분'에서 표현이 격상됐다. 김 위원장이 주관하는 각종 군사행사에 동행하는 것도 주애 후계자설을 뒷받침하는 근거다. 2022년 2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현지지도 이후 주애가 김 위원장과 함께 등장한 대형 정치·군사 행사는 20건이 넘는다. 의전도 극진하다. 열병식에서 주석단의 김 위원장 옆자리를 꿰차는가 하면, 군서열 2위 박정천 당 군정지도부장이 무릎을 꿇고 주애에게 귓속말을 하는 장면이 공개됐다. 통일부는 주애와 관련 "북한이 의전규범 같은 걸 만들어가는 단계"라며 후계자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북한, 승계 직전 후계자 지목…남존여비 문화도 과제

물론 주애가 후계자라는 관측은 아직 추정에 불과하다. 김일성이 김정일에, 김정일이 김정은에 승계할 당시와 비교하면 공식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당의 주요 직위에 임명하거나 관련 교시를 하달해야 한다. 김일성은 1980년 10월 아들 김정일을 공식 후계자로 공개하기 6년 전 당 중앙위원회 정치위원에 앉혔다. 김정일은 아들 김정은을 2009년 1월 당 조직지도부에 기용하고 1년 뒤 후계자로 공식화했다.

북한의 남존여비 사상이 뿌리 깊은 것도 걸림돌이다. 주애를 일찍 후계자로 내정할 경우 백두혈통의 분열을 자초할 수도 있다. 이에 북한 외교관 출신 고영환 통일부 장관 특별보좌관은 "주애 후계설은 시기상조"라고 주장해왔다.

문재연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