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직장인 1,000만명 시대, 직장 내 성차별은 여전히 공고

입력
2024.04.10 04:30
27면
게티이미지뱅크 코리아

게티이미지뱅크 코리아

여성 직장인이 지난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하지만 국내 성별 임금 격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997만6,000명, 비중 45.7%로 남성과 대등한 수준까지 증가했다. 자영업자 등을 포함한 전체 여성 취업자는 1,246만4,000명으로 모두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최고 수치다. 남성 취업자와 임금근로자 규모 역시 경제 성장에 따라 역대 최고였지만, 비중은 역대 최저였다. 그럼에도 상대적으로 대우가 뒤처지는 임시근로자 중 여성 비중은 60.7%로 남성 임시직보다 훨씬 높았다.

산업과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지만, 남녀 임금 격차의 변화는 더디다. 통계청이 발간한 ‘한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 이행보고서 2024’에 따르면 한국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기준 31.2%로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다. 이는 OECD 평균(12.1%)과 비교하면 2.6배에 달하며, 남녀 임금 격차가 30% 이상인 나라도 한국뿐이다. 차하위 이스라엘도 25%대였으며, 임금 성차별이 낮은 노르웨이 덴마크 등은 5% 내외였다.

이런 통계를 두고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격차가 큰 한국의 이중노동시장에서 여성의 비정규직이 높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가능하다. 하지만 한국노동연구원에 따르면 정규직 여성 노동자도 남성 정규직에 비해 임금이 70%에 그친다.

더 심각한 문제는 성별 임금 격차의 원인에 대한 남녀 간 인식차다. 최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조사에서 남성은 ‘출산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을 가장 큰 이유로 꼽은 반면, 여성은 ‘채용 후 승진 배치에서 성차별 누적’이 1위였다. 한국 사회에서 출산과 육아를 여성만의 책임으로 보는 고정관념이 바뀌지 않는 한 출산율 세계 최하위인 한국의 운명을 되돌릴 방법을 찾기는 쉽지 않다.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