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풍에 그친 세브란스병원 무기한 휴진… 노조도 "외래진료 감소율 10%"

입력
2024.06.27 18:00
수정
2024.06.27 18:19
구독

병원 "교수 휴가 평소 수준, 정상진료 중"
환자들은 "반인륜적 행동" 교수들 비판
정부 "갈등은 대화로 풀어야" 거듭 촉구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2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전광판에 정상진료 안내가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세브란스병원 교수들이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27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세브란스병원 전광판에 정상진료 안내가 표시되고 있다. 연합뉴스

연세대 의대 교수들이 27일 무기한 휴진을 시작했지만 세브란스병원 등 이들이 소속된 병원 진료에는 별다른 차질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빅5 병원(5대 상급종합병원) 가운데 3개 병원 교수들이 휴진을 철회한 데 이어 세브란스병원 휴진도 지지부진하면서 의대 교수 집단행동은 힘을 잃는 모양새다. 의사계에 거듭 대화를 요청한 정부는 내년도 의대 증원과 미복귀 전공의 행정처분은 협의 대상이 아니라는 입장도 재차 강조했다.

세브란스병원 관계자는 27일 본보에 "교수 휴진으로 인한 진료 차질은 없다"며 "학회 등 이유로 휴가를 쓴 교수가 일부 있지만 그 수는 평소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세브란스병원 노조는 "외래진료가 약 10% 감소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지만, 연세대 의대 교수비상대책위원회가 이달 12일 교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며 무기한 휴진 동참 응답률이 72.2%였다고 밝힌 것을 감안하면 휴진 열기가 한참 식은 셈이다.

휴진 참여율이 낮은 이유는 비대위가 휴진 참여 여부를 교수 개인의 선택에 맡겼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병원의 휴진 불허 방침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세브란스병원 관계자는 "집단휴진 일환으로 휴가를 낸다면 진료 일정 조정 등을 병원이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 빅5 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의대 가운데 서울대 가톨릭대 성균관대는 휴진을 철회한 반면, 연세대와 울산대는 강행을 선택했다. 서울아산병원 등에서 진료를 보는 울산대 의대 교수들은 다음 달 4일부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다는 방침을 이날 재확인했다.

일방적 예약 취소 등 큰 불편은 없었지만 환자들은 세브란스병원의 휴진 강행에 분통을 떠트렸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논평을 내고 "연세대 의대 교수들의 무기한 휴진 결정은 반인륜적 집단행동"이라며 "휴진이 의료계를 올바른 길로 인도하기 위한 행동이라는 교수들 주장은 궤변"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자기 의견을 관철하려고 힘없는 환자의 생명을 볼모로 잡는 의사들 행태에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정부도 "갈등 해결법은 휴진이 아닌 대화"라며 교수들을 에둘러 비판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중앙안전재난대책본부(중대본) 모두발언에서 "서울대병원은 무기한 휴진을 중단했고, 서울성모병원과 삼성서울병원도 예고했던 휴진을 유예했다"며 "의사로서 환자를 최우선에 두고 내린 올바른 결정"이라고 치켜세웠다.

김국일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은 중대본 회의 후 브리핑에서, 대한의사협회(의협) 산하의 범의료계 대책기구 '올바른 의료를 위한 특별위원회'(올특위)를 언급하며 "의료계가 올특위를 구성해 의정 협의 참여 의사를 밝힌 만큼 집단행동보다는 대화의 자리에서 기탄없이 논의해 나갈 것을 요청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전공의 7대 요구 사항 중 핵심인 '내년도 의대 증원 백지화'나 의료계가 요구하는 '전공의 행정처분 완전취소'는 협의 대상이 아니라고 재차 강조했다. 앞서 정부가 수련병원 복귀 전공의는 행정처분을 철회해준다는 유화책을 냈는데도 복귀한 전공의가 30여 명에 그치자, 일각에서 전공의 미복귀를 전제로 진료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과 관련해 김 정책관은 "일단 전공의 복귀를 최우선으로 두고 정책을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지영 기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